본문 바로가기

경복궁

경복궁 야간개장 경복궁 야간개장 더보기
아름다운 정원과 누각. 향원정. 향원지 안 작은 동산에 만든 향원정. 경회루가 외국 사신들이 오거나 국가의 특별한 행사때 연회를 베풀던 장소라면 이곳은 임금이 휴식과 풍류를 즐기거나 신하들과 간소한 시회를 즐기던 곳이다. 이곳은 경복궁 창건 당시에는 없었으며, 고종 연간인 1867년부터 1873년 사이에 건청궁 내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다만『세조실록』에 취로정이라는 정자를 짓고 주변 연못에 연꽃을 심었다는 세조 2년(1456)의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향원정의 전신이 아닌지 짐작하고 있다고 한다. 원래는 연못 북쪽에 자리잡았던 건청궁과 정자를 이어주던 구름다리로서 ‘꽃향기에 취한다’는 뜻을 가진 취향교가 있었으나 한국전쟁 때 파괴되었고, 현재 남쪽으로 연결된 다리는 1953년에 가설된 것이라고 한다. 향원정을 북쪽에서 바라보면.. 더보기
독특한 구조의 팔우정, 집옥재, 협길당. 신무문으로 들어와 매표소를 지나 경복궁으로 들어서서 좌측을 보면 조금은 독특한 건물이 눈에 들어온다. 언뜻보면 한옥 같은데 자세히 보면 한옥이 아닌것 같은 요상한 건물이다. 집옥재 인데 고종이 서재로 사용하였던 곳이다. 원래는 팔우정·협길당과 함께 창덕궁 함녕전의 별당으로 지어졌는데 고종이 거처를 창덕궁에서 경복궁으로 옮기면서 함께 이전하였다. 고종은 이곳에 선대 임금의 어진을 봉안하고 외국 사신들을 접견하는 장소로도 이용하였다. 경복궁 내의 다른 전각들과는 달리 당시로서는 신식인 중국풍의 서양식으로 지은 것이 특징이다. 그러니 뭔가 독특해 보이는 것은 당연하다. 집옥재 좌측으로 팔우정이 보이는데 창호지가 아닌 유리창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식이 절충된 양식이다. 당시로서는 상당히 파격적이지 않았을까 생각.. 더보기
경복궁의 북문 신무문. 신무문은 조선의 네번째 왕 세종대왕 즉위 15년인 1443년에 건립되었다. 신무문이 완성되어 비로소 경복궁 성곽의 4대문이 제 모습을 갖추었다. 현재의 신무문은 고종때 중건되었다. 이곳 신무문에서 정북을 바라보면 청와대가 자리잡고 있는데 그래서 그런지 검은 옷 아저씨들과 경찰들이 계속 서 있었다. 창의문에서 신무문까지 오는데 얼마나 많은 경호원들이 붙잡고 어딜 가냐고 물어보던지... 좌청룡, 우백호, 남주작, 북현무에서 알 수 있듯이 신무문은 경복궁의 북문으로 문 위로 현무가 그려져 있음을 볼 수 있다. 건춘문과 영추문 천장은 아직 못봤는데 기회가 되면 가서 용과 호랑이가 있는지 직접 봐야겠다. 더보기
궁녀들의 생활공간 태원전. 고종때 흥선대원군에 의해 경복궁이 중건되면서 지어진 건물이다. 주로 궁녀들의 거주 공간으로 활용되었는데, 국상이 있을때에는 장례용으로 사용되었다. 명성황후가 시해되자 시신이 이곳에 안치되었었다. 현재의 건물은 2005년에 복원되었다. 궁녀들의 거주 했던 곳이기에 경복궁 내에서 우물이 가장 많은 곳이기도 하다. 요즘같은 추위를 생각하면 한겨울에 어떻게 빨래를 했을지 내가 다 걱정이 된다. 물론 물을 끓여서 쓰기도 했겠지만 지금처럼 온수가 콸콸 쏟아지는것이 아니니... 이런거 보면 문명의 발달이 꼭 나쁜 것은 아닌데, 그렇다 하더라도 빠른 경제 성장에 우리 문화가 너무 잊혀진건 아닌가 싶다. 더보기
대왕대비의 침전 자경전. 자경전은 경복궁의 침전으로 대왕대비가 거처하던 대비전이다. (대왕대비는 왕의 어머니, 세자의 할머니로 요즘 한창 인기있는 해품달로 보자면 연우를 죽이게 한 대왕대비 윤씨가 거처하는 곳이다.) 1865년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복원하면서 지었으나 화재로 소실되어 1888년(고종25년)에 중건되었다. 경복궁에서 일제시대에 파괴되지 않은 몇 안되는 건물로 꽃담과 십장생 굴뚝이 유명하다. 아마도 거의 모든 분들이 1박2일을 통해 이제는 익히 알고 있을 듯 하다. 이사진은 예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있었던 궁궐 사진전에서 찍은 자경전의 모습인데,1900년대 초는 지금 정비된 모습과는 조금 다름을 알 수 있다. 예전 사진에는 보이지 않던 우측 담이 지금은 생겼는데, 일제때 파괴되어 복원된 것인지 아니면 원래부터 없었던 .. 더보기
경복궁 함화당과 집경당 경북궁 내전의 침전으로 사용된 함화당과 집경당. 두 건물은 회랑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임진왜란때 불탄것을 고종때 복원하였다. 일제에 의해 경복궁이 파괴되었지만 함화당과 집경당은 다행히 피해갈 수 있었다. 더보기
경회루, 수정전 조선 초기 경복궁을 창건할 당시에는 규모가 작은 누각이었으나 1412년(태종 12)에 연못을 확장하고 큰 규모로 중건하였으나 임진왜란으로 불타 버려 1867년(고종 4)에 재건하였다. 재건 전 1473년(성종 4)·1474∼1475년·1506년(연산군 12)에 수리공사가 있었다. 지금은 서쪽과 남쪽 담이 헐려(북쪽과 동쪽은 근래에 복원) 경회루를 잘 볼 수 있지만 조선시대에는 높은 담으로 안을 볼 수 없었다고 한다. 실제로 동쪽에 서면 담이 높아 경회루 지붕밖에 보이지 않는다. 외국 사신이 왔을 때나 국가의 큰 행사시 연회를 베푸는 장소로 초청된 상위층만 드나들 수 있었던 곳이다. 누각으로는 우리나라에서 규모가 가장 큰데 특이한 점은 경회루로 들어가는 동쪽 문이다. 세군데에 문이 있는데 통상 가운데를 왕.. 더보기
왕비의 침전 교태전. 1394년 경복궁을 창건할 당시에는 교태전이 없었으며 그 이후에 지어졌다고 한다. 정확한 건립시기는 모르고 세종 때에 지어진 것으로 추측한다. 교태전은 왕비의 침전으로 중궁 또는 중전으로 불렸는데, 궁의 중앙에 위치해서 그렇게 불렸다고 한다. 1553년 명종때 경복궁 화재로 소실되어 1555년 8월에 다시 지었으나 이것 역시 1592년 임진왜란 때 방화로 소실되었다. 1869년 새로 창건하였으나 이후 창덕궁의 화재를 복구하기 위해 교태전을 헐어서 사용하였다. 여기서 중요한건 우리가 헐은게 아니라 일본이 했다는 것. 지금의 건물은 1990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교태전은 강녕전 정북방향으로 있는데, 강녕전에서 교태전으로 통하는 정문으로 이름은 양의문(兩儀門)이라 지었다. 음양의 조화를 의미한다고 한다. 교.. 더보기
광화문 [光化門] 1395년(태조 4) 경복궁을 창건할 때 정전(正殿)인 근정전과 편전(便殿)인 사정전·침전인 경성전(慶成殿)·연생전(延生殿)·강녕전(康寧殿) 등을 지어 궁궐의 기본구조를 갖춘 다음, 1399년에 그 둘레에 궁성을 쌓은 뒤 동·서·남쪽에 성문을 세우고, 동문을 건춘문(建春門), 서문을 영추문(迎秋門), 남문을 광화문이라 이름 지었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탄 것을 흥선대원군이 경복궁 중건 당시인 1865년(고종 2)에 다시 짓게 하였다. 1927년에는 일제의 문화말살정책으로 인해 경복궁의 여러 곳이 헐리고 총독부청사가 들어서면서 건춘문 북쪽으로 옮겨졌다. 이후 광화문은 6·25사변 때 폭격을 맞아 편전인 만춘전(萬春殿)과 함께 불타버렸다. 1968년에 석축 일부가 수리되고 문루는 철근콘크리트구조로 중건되었다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