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宮]/경복궁

근정문, 근정전

근정문

근정문은 경복궁의 중심 건물인 근정전의 남문으로 좌우에 복도 건물인 행각이 둘러싸고 있다. 조선 태조 4년(1395) 경복궁을 세울 때 함께 지었으나 임진왜란으로 불에 타 버렸다. 지금 있는 건물은 고종 4년(1867) 경복궁을 다시 세우면서 같이 지은 것이다. 

근정문 양쪽으로 일화문(日華門)과 월화문(月華門)이 있고 근정전 북쪽으로 사정문(思政門)이 있다. 지금 남아 있는 조선시대 왕궁 정전의 남문 중 하나 밖에 없는 2층 건물이다.
근정문 너머로 근정전이 보인다. 신하들은 근정문 양 옆의 월화문, 일화문으로 다녔고 근정문은 왕이 출입하던 문이다.
근정문에서 바라본 근정전. 가운데로 어도(임금님이 다니는 길)가 나있고 양옆으로 신하들이 다니던 길이 있다. 그 길 양 옆으로 품괴석이 세워져 있고 근정전 영역은 궁에서 유일하게 전체가 박석으로 깔려있다. 

근정전

1985년 1월 8일 국보 제223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초기부터 역대 국왕의 즉위식이나 대례 등을 거행하던 곳으로, 1395년(태조 4)에 지은 것은 임진왜란 때 불타고, 현재의 것은 조선 말기인 1867년(고종 4) 11월에 흥선대원군이 중건한 것이다. 다포양식(多包樣式)의 건물로, 현존하는 국내 최대의 목조건물이다.
품괴석은 근정전에서 바라볼때 앞쪽부터 정1품부터 종9품까지 총18개가 
세워져 있다. 잘 알고 있는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이 정 1품에 해당한다. 국가 행사등이 있을 때 신하들은 자신들의 벼슬에 맞게 품괴석에 정렬했다고 한다.
근정전 내부의 모습. 용상 뒤로 일월오봉도가 보인다. 일월오봉도는 임금이 있는 곳에 항상 따라다녔다고 한다. 그래서 1만원군 지폐에도 세종대왕이 계시기에 일월오봉도가 세겨져 있다고...

그 앞으로 방석이 놓여져 있는데 사관들이 앉아서 왕의 행동과 말을 기록했다. 사관은 태조때 등장하여 조선왕조 472년간의 역사적 사실을 기록했는데, 당대의 왕이 죽으면 다음 왕 즉위 초기에 전 왕의 기록을 책으로 펴냈다. 이 책이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조선왕조실록이다. 전세계에서 유래를 찾아 볼 수 없는 기록 유산으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사관이 기록한 내용은 어느 누구도 열람할 수 없었으며, 왕도 예외는 아니었다. 그래서 후대에 기록될 자신의 모습때문에 왕들도 사관 앞에서는 행실을 조심했다고 한다.
근정전 천장에 새겨진 용문양. 용의 발톱이 7개인데, 왜 7개인지 문헌에 나와있지 않아 추측만 있다고 한다. 그중에 하나가 음양오행인데, 요런건 정보가 없어 아쉽다.
근정전 주위로 깔려있는 돌을 박석이라 부른다. 요즘 우리가 볼때는
충분히 판판하게 만들 수 있을 것 같은데, 울퉁불퉁한게 대충 만든것 같은 느낌이 든다. 하지만 여기에도 조상의 지혜가 있었으니 화강암의 특성상 판판하게 가공하면 빛의 반사가 많기때문에 눈부심을 없애기 위해 일부로 이렇게 만들었다고 한다. 또한 가죽 신을 신고 다녔기에 비나 눈이 왔을 때 미끄러지지 않게 하기 위한 이유도 있다.

그리고 느끼기 힘들지만 남쪽으로 경사가 심하게 져서 비가 많이 와도 배수가 잘 되게 설계되어 있다고 한다. 비가 많이 올때 남쪽 양 귀퉁이로 물이 몰리는걸 볼 수 있단다. 하지만 이렇게 경사가 심해도 못느끼는 이유가 있으니 근정전 동서쪽에 있는 행각때문이다. 자세히 보면 행각이 3단으로 층을 이루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낮아지는 남쪽으로 행각도 단계적으로 낮추었는데, 이때문에 착시현상으로 경사짐을 잘 느끼지 못한다고 한다. 알면 알수록 조상들의 지혜에 감탄하게 된다.

근정전은 2단의 월대위에 지어졌는데, 월대는 다른 궁궐의 정전에도 모두 있지만 경복궁의 월대에만 난간이 있다. 1층 난간에는 12지신상이 새겨져 있고 2층 난간에는 동서남북으로 용, 호랑이, 주작, 현무가 새겨져 있다. [좌청룡, 우백호, 남주작, 북현무]
1층 난간에 새겨져 있는 12지신상. 하지만 개와 돼지는 새겨져 있지 않다는데, 그 이유는 문헌에 나와있지 않아서 모른단다. 어느 자료에서는 집에서 흔하게 키우던 개와 돼지는 빠졌다고 되어 있는데, 소랑 닭을 생각했을 때 그건 아닌것 같다.
2층 난간에 새겨져 있는 용, 호랑이. 호랑이가 익살스러운게 여기서도 조상들의 해학미를 다시 한번 볼 수 있다. 근정전에 앉아 있는 임금은 남쪽을 바라보기 때문에 임금님 기준으로 좌측, 즉 동쪽에 용이 서쪽에 호랑이가 새겨져 있다.
근정전의 월대 위에 서면 남쪽으로 근정문, 흥례문, 광화문이 한눈에 들어온다. 멀리 고층 빌딩들을 보니 아름다운 우리 문화재가 답답하게 갇혀있는 듯한 느낌이 들어 안쓰러운 마음이 든다.

'궁[宮] > 경복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비의 침전 교태전.  (1) 2012.01.09
왕의 침전 강녕전.  (0) 2012.01.06
왕의 주 업무 공간 사정전  (0) 2012.01.03
흥례문, 영제교, 유화문  (0) 2011.12.31
광화문 [光化門]  (2) 2011.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