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95년(태조 4) 경복궁을 창건할 때 정전(正殿)인 근정전과 편전(便殿)인 사정전·침전인 경성전(慶成殿)·연생전(延生殿)·강녕전(康寧殿) 등을 지어 궁궐의 기본구조를 갖춘 다음, 1399년에 그 둘레에 궁성을 쌓은 뒤 동·서·남쪽에 성문을 세우고, 동문을 건춘문(建春門), 서문을 영추문(迎秋門), 남문을 광화문이라 이름 지었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탄 것을 흥선대원군이 경복궁 중건 당시인 1865년(고종 2)에 다시 짓게 하였다. 1927년에는 일제의 문화말살정책으로 인해 경복궁의 여러 곳이 헐리고 총독부청사가 들어서면서 건춘문 북쪽으로 옮겨졌다.
이후 광화문은 6·25사변 때 폭격을 맞아 편전인 만춘전(萬春殿)과 함께 불타버렸다. 1968년에 석축 일부가 수리되고 문루는 철근콘크리트구조로 중건되었다가 2006년 들어, 경복궁 복원공사의 일환으로, 철거되어 고종연간의 중건 모습을 기준으로 하여 복원되었다.
초등학교 이후 처음으로 경복궁 나들이에 나섰다. 가야지 가야지 생각만 하다 드디어 실행에 옮겼다. 광화문 광장에서 광화문 방향으로 횡단보도를 이용해 건너가면 된다.
경복궁 관람
입 장 료 : 어른 3,000원, 만18세 이하 무료
관람 시간 : 03월~10월 09:00~18:00 (17:00까지 입장)
11월~02월 09:00~17:00 (16:00까지 입장)
매주 화요일 휴관
무료 해설 : 한국어 - 월,수~토 11:00, 13:00, 14:00, 15:00, 16:00 (동절기 15:30)
일요일 12:30, 13:30, 14:30 추가 안내
'궁[宮] > 경복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비의 침전 교태전. (1) | 2012.01.09 |
---|---|
왕의 침전 강녕전. (0) | 2012.01.06 |
왕의 주 업무 공간 사정전 (0) | 2012.01.03 |
근정문, 근정전 (0) | 2012.01.01 |
흥례문, 영제교, 유화문 (0) | 2011.12.31 |
광화문 [光化門] (2) | 2011.12.29 |
경복궁야경을 담겠다고 아내와함께 찾았다가
야간개방 끝났다는 이야기에 하릴없이 되돌아선 씁쓸한 기억이 나네요.
할수없이 광화문야경만 담고 왔지요.ㅎ
많이 아쉬우셨겠어요. 야간 개방은 하절기에만 하나요? 저도 한번 가보고 싶은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