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宮]/유리건판 궁궐 사진전

유리건판 궁궐 사진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있었던 궁궐 사진전을 다녀온게 2008년 2월 27일인데, 이제야 정리하며 블로깅을 하니 나도 참 대단하다. 블로그를 2010년에 만들었다는게 위안이 되려나...ㅡㅡ; 아무튼 안타까운 마음으로 관람했었는데 지금 보니 그때의 마음이 전해진다.

조선의 궁궐

궁궐은 단순히 왕의 거처일 뿐만 아니라, 국가적 군위의 상징이다. 조선이 한양에 도읍을 정하면서 거기에 여러 궁궐을 조성하였다. 조선이 수도 한양에 지은 대표적인 궁궐은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경희궁, 덕수궁이다. 이 가운데 경복궁은 조선의 궁궐 가운데 가장 큰 규모로 지은 정궁인데 1592년 임진왜란 때 불타 빈 터로 전하다가 1867년 복원하였다. 태종 때 지은 창덕궁은 경복궁의 동쪽에 있으므로 창경궁과 함께 동궐로 불렸다. 경복궁이 불타버린 임진왜란 이후에는 경희궁과 함께 조선 왕실의 주요 무대였다.

경희궁은 본래 왕족의 사저였으나, 이곳에 왕기가 있다고 하여 광해군이 빼앗아 왕궁으로 증축하였다. 창경궁은 성종이 3명의 대비를 모시고자 수강궁을 증축한 것이다. 본래 이름이 경운궁인 덕수궁은 선조가 거처하였으며, 광해군 때부터 경운궁이란 정식 이름을 붙였다. 경운궁은 대한제국의 중심 황궁이며, 덕수궁이란 이름은 고종황제가 일본에 의하여 강제로 퇴위당한 후 거주하면서 생겼다.

이 밖에 서울에는 인덕궁, 인경궁, 용동궁, 이현궁, 창의궁, 운현궁, 본궁, 별궁 등 많은 궁이 있었다. 그리고 지방에는 온천이 있는 온양, 태조가 상왕 때 머문 풍양, 한양을 수호하는 남한산성, 북한산성, 정조가 건설한 화성 등 전국 각지에는 행궁이 있었다. 또 조선 왕실의 고향인 함경도 함흥 및 영흥이나 왕실과 인연이 깊었던 곳에는 본궁과 왕이 즉위 이전에 살았던 집인 잠저라는 작은 궁궐이 다수 있었다.


숭례문[국보 1호]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4가에 있는 조선 전기의 성문. 정면 5칸, 측면 2칸의 중층건물. 일명 남대문(南大門)이라고도 하는데, 서울도성의 사대문 가운데 남쪽에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이 건물은 1396년(태조 5) 축조된 서울도성의 정문으로 1398년 2월에 준공되었다. 그뒤 1447년(세종 29) 개수공사가 있었으며, 1961년부터 1962년 사이에 실시된 해체수리 때 발견된 상량문(上樑文)에서 1479년에도 대대적인 중수공사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모두 알다시피 2008년 2월 10일 방화로 소실되어 재건중이다. 한국전쟁 당시에도 꿋꿋이 살아남은 문화재가 현대에 들어와 방화로 소실되었다니 참으로 안타깝지 않을 수가 없다.
총독부 건물에서 바라본 현 세종로. 광화문을 이전하고 담장을 헐어버린 모습을 볼 수 있다.

구 국립중앙 박물관 내부

총독부 발물관

일제는 대규모 박람회를 경복궁에서 개최한다는 명분으로 동궁터에 서양식 정원을 꾸미고 박물관을 건립했다. 현재 박물관은 헐리고 정원 자리에는 동궁이 복원되었다. 오른편으로 건춘문(경복궁 동문)이 보인다.

해태

공포

해태
사자와 비슷하나 머리 가운데에 뿔이 있다고 한다. 한자어로는 해치(獬豸)라고 한다.중국 문헌인 이물지(異物志)에는 “동북 변방에 있는 짐승이며, 한 개의 뿔을 가지고 있는데, 성품이 충직하여 사람이 싸우는 것을 보면 바르지 못한 사람을 뿔로 받고, 사람이 다투는 것을 들었을 때는 옳지 않은 사람을 받는다.”고 설명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정의를 지키는 동물로 믿어져서, 법을 심판하는 사람은 해치관이라 하여 해태가 새겨진 관모를 쓰기도 하였다. 또, 화재나 재앙을 물리치는 신수로 간주되어 궁궐 등의 건축물에 장식되기도 하였다. 광화문 앞에 놓여 있고, 경복궁 근정전의 처마마루에도 놓여 있는데, 이것은 전각 안에서 정사를 돌보는 임금의 공평무사를 비는 뜻이 담겨져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